PM 7

[실습]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정의하기 (2. 문제 원인 분석을 통한 문제정의)

이전 포스팅에서 N+스토어의 구글 플레이스토어 리뷰를 보고 몇가지 문제 현상을 발견하였다. (https://mtepg924.tistory.com/37)결과적으로 발견한 문제현상은 다음과 같았다.카테고리대표 키워드주요 문제 현상UI/UX다크모드, 광고 과다, 혼잡한 UI- “다크모드 지원해주세요. 눈이 시려서 쇼핑하기 불편해요.”- “광고가 너무 많아 화면이 혼잡해요.”- “앱 내에서 주요 이벤트를 한눈에 알기 힘듭니다. 내 등급에 따라 맞춤 혜택을 바로 볼 수 있게 메뉴 해주세요.”기능송장 복사, 필터 오류, 로딩 지연/화면 전환 중 앱 꺼짐 장바구니 비워짐 등 성능 문제,필터, 정렬 세분화 미지원,검색결과 품질 (관련없는 상품 등장)- “송장번호, 주문번호 복사가 안돼서 일일이 입력하느라 번거롭고 어려..

PM 공부하기 2025.04.23

[실습]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정의하기 (1. 문제 현상 발견)

오늘은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의 리뷰를 분석하고, 문제 현상을 발견하는 실습을 해보았다. 실습의 흐름은1. 대분류 카테고리를 설정한 뒤(UI/UX, 기능, 고객 지원, 가격), 리뷰 내용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하기2. 카테고리 별 리뷰 빈도 수 파악3. 카테고리 별,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를 통해 문제 현상 파악 으로 진행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 리뷰의 카테고리 분류카테고리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카테고리문제 성격 (기준)관련 부서 (해결 주체)UI/UX사용자의 시각적 불편, 탐색 경험 문제 (디자인, 배치, 탐색 흐름, 시각적 요소)디자인팀 (UX 디자이너), 프론트엔드 개발팀기능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 오류, 느림, 기능 부족 문제 (버그, 속도, 기능 부재..

PM 공부하기 2025.04.22

1. 목표수립: 프로덕트 비전 설계 ~ OKR 설정

목표 수립프로덕트 비전OKR (Objectives & Key Results)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오늘은 목표수립을 잘 하는 법, 목표 수립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웠다. 목표 수립은 프로덕트 설계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하는 단계로,1)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결정하고,2) 해결할 문제의 범위를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3) 목표 수립 후에는 목표 달성 지표를 결정하고, 달성도를 측정한다. -> 1)과 2)는 프로덕트 비전 설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3)은 OKR, KPI 설정을 통해 목표 달성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오늘은 프로덕트 비전 설계, OKR, KPI의 개념을 익히고,결국 목표 수립을 잘하는 법이라는 것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프로덕..

PM 공부하기 2025.04.15

애자일 - 이론~실전

애자일(Agile)이란?대표적인 프로젝트 방법론 중 하나 - 대비되는 개념은 워터폴(waterfall)이 있음고객과 시장의 요구 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위해 생긴 방법론이를 위해 계획-개발-회고를 포함한 짧은 Cycle(그 짧은 cycle을 Sprint라고 부름)을 여러번 반복하여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를 만들고, 개선시켜 나간다.고객의 요구에 초점이 맞춰진 프로젝트 방법론이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IT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스크럼(Scrum)스크럼: 프로젝트를 애자일하게 운영하기 위한 방법론참고로 스크럼(Scrum) 외에도 칸반 프로세스(Kanban),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등의 애자일 운영을 위한 방법론이 있다.스크럼의 6가지 이벤트 ..

PM 공부하기 2025.04.02

PM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

PM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PM은 협업을 통해 제품을 개선시키고 개발한다. 어떤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해야할까?그리고 각 직무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해야 할까?아래는 내일배움캠프 프로덕트매니지먼트 개론에 등장한, PM과 함께 일하는 10개의 직무들이다. > 배운점과 느낀점 PM은 주로 개발자와 디자이너와 소통한다고 막연하게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직무와의 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협업하는 직무가 많은 만큼, 각 직무가 하는 일을 대략적으로라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엄청 바쁘겠구만...) 물론 이 많은 직무와 한 명의 PM이 협업하는 구조는 드문 것 같다. 최근에는 개발 PM이라는 말이 생긴 것처럼, 아예 개발자와의 소통을 중점으로 두는 PM도 따로 뽑는 것 같다. 그리고 스타트..

PM 공부하기 2025.04.02

잘하는 커뮤니케이션이란 뭘까?

PM에게 필수적인 역량인 커뮤니케이션. 어느 정도로 중요하냐 하면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느냐 못 하느냐에 따라 프로젝트의 성패가 갈릴 수준이다. 따라서 협업할 때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한다. 근데 잘하는 커뮤니케이션이란 뭘까? 결국 커뮤니케이션이란 사람 간의 소통이다. 사람들은 다 다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에 정답이 정해져있는 것도 아니고, 누구를 대하느냐,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다르다. PM은 프로젝트의 운영을 위해, 궁극적으로 팀원들과 의미있는 프로덕트를 만들자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원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아래처럼 정리해볼 수 있다.  1. 명백한 것에 대한 명확한 전달 연구실에 다니던 기억이 떠오른다. 인턴 상태에서 연구와 실험에..

PM 공부하기 2025.04.01

Product manager의 역할 - 기본 정의~ 실무에서의 역할

PM의 기본적인 정의 Product manager는 무슨 일을 하는 직무인가? 같은 IT 직군인 디자이너나 개발자에 비해서도 딱 잘라 무슨 일을 한다고 하기가 애매하다. 하는 일이 광범위 하고, 다른 직군에 비해 역사가 짧기 때문이다. 또한 눈에 보이는 산출물도 디자이너나 개발자에 비해 뚜렷하지가 않다. (디자이너는 ui 디자인, 개발자는 코드, PM은...?)   이 직무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칼럼을 본 결과, 공통적으로 말하는 PM이라는 직무는 제품/서비스 기획과 이 기획을 위한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사람인 것 같다. 그래서 채용 공고를 할 때, 과거에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말로 쓰였고, 요즘에는 product manager, product owner, project manager 등으로 교체되고 있는 ..

PM 공부하기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