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Cohort Chart(코호트 차트)를 활용해 리텐션 분석을 시각화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리텐션율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식 구성이었는데, 그 중심에는COUNTD([User ID]) / ATTR({ EXCLUDE [Returning after how many weeks] : COUNTD([User ID]) })라는 식이 있었다. 이 계산식은 각 주차별로 재방문한 유저 수를, 최초 유입된 해당 주차의 유저 수로 나누는 방식인데, 여기서 EXCLUDE LOD(Level of Detail) 계산을 통해 리텐션 기간 구간을 제외한 분모 집계값을 별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