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정의 2

[실습]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정의하기 (2. 문제 원인 분석을 통한 문제정의)

이전 포스팅에서 N+스토어의 구글 플레이스토어 리뷰를 보고 몇가지 문제 현상을 발견하였다. (https://mtepg924.tistory.com/37)결과적으로 발견한 문제현상은 다음과 같았다.카테고리대표 키워드주요 문제 현상UI/UX다크모드, 광고 과다, 혼잡한 UI- “다크모드 지원해주세요. 눈이 시려서 쇼핑하기 불편해요.”- “광고가 너무 많아 화면이 혼잡해요.”- “앱 내에서 주요 이벤트를 한눈에 알기 힘듭니다. 내 등급에 따라 맞춤 혜택을 바로 볼 수 있게 메뉴 해주세요.”기능송장 복사, 필터 오류, 로딩 지연/화면 전환 중 앱 꺼짐 장바구니 비워짐 등 성능 문제,필터, 정렬 세분화 미지원,검색결과 품질 (관련없는 상품 등장)- “송장번호, 주문번호 복사가 안돼서 일일이 입력하느라 번거롭고 어려..

PM 공부하기 2025.04.23

[실습]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정의하기 (1. 문제 현상 발견)

오늘은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의 리뷰를 분석하고, 문제 현상을 발견하는 실습을 해보았다. 실습의 흐름은1. 대분류 카테고리를 설정한 뒤(UI/UX, 기능, 고객 지원, 가격), 리뷰 내용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하기2. 카테고리 별 리뷰 빈도 수 파악3. 카테고리 별,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를 통해 문제 현상 파악 으로 진행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 리뷰의 카테고리 분류카테고리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카테고리문제 성격 (기준)관련 부서 (해결 주체)UI/UX사용자의 시각적 불편, 탐색 경험 문제 (디자인, 배치, 탐색 흐름, 시각적 요소)디자인팀 (UX 디자이너), 프론트엔드 개발팀기능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 오류, 느림, 기능 부족 문제 (버그, 속도, 기능 부재..

PM 공부하기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