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공부하기

1. 목표수립: 프로덕트 비전 설계 ~ OKR 설정

mtepg924 2025. 4. 15. 12:09
<키워드>
목표 수립
프로덕트 비전
OKR (Objectives & Key Results)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오늘은 목표수립을 잘 하는 법, 목표 수립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웠다. 

 

목표 수립은 프로덕트 설계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하는 단계로,

1)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2) 해결할 문제의 범위를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3) 목표 수립 후에는 목표 달성 지표를 결정하고, 달성도를 측정한다.

 

-> 1)과 2)는 프로덕트 비전 설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3)은 OKR, KPI 설정을 통해 목표 달성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오늘은 프로덕트 비전 설계, OKR, KPI의 개념을 익히고,

결국 목표 수립을 잘하는 법이라는 것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프로덕트 비전 설계 

- 프로덕트 비전 설계를 하는 이유?

-- 프로덕트 개발의 장기적인 방향성을 잡기 위함

 

- 프로덕트의 비전에 따라 프로덕트 방향이나 기능이 달라짐

-- 비전은 우리가 무엇을 할지에 대한 범위를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2️⃣ 목표 달성 지표 - OKR과 KPI

1. OKR(Objective & Key Results)

1.1 OKR이란?

  • 구글이 도입하면서 유명해진 개념이라 한다. 스타트업에서 많이 쓰고 있음
  • 말 그대로 목표(Objective)와, 그 목표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정량적 지표(Key Results)
  • OKR은 주로 팀 리더와 PM이 함께 정한다.
  • 목표와 핵심결과 설정의 조건:
    • 목표 설정: 충분히 도전적이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질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 측정가능한 핵심 결과:
      • 핵심결과는 측정가능해야 한다. 
      • 도전적인 목표는 60-70%의 달성률이라고 한다.

 

1.2  목표 설정하는 과정:

  • (1) 고객이 가진 문제와, 아직 시장에서 풀리지 않는 문제를 수집한다. 
    • VoC, 내부 정량 데이터(이 때 경쟁사의 데이터와 비교할 것), 외부 리서치자료(경쟁사의 영업제안서, 보도자료, 오픈서베이 자료 등), 내부 전문가의 인사이트 등을 수집하여 문제와 기회들을 포착한다.
  • (2) 수집된 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문제 원인 분석을 진행한다.
  • (3) 문제 원인에 대한 해결방법을 여러가지 도출해보고, 기대효과/구현난이도를 측정하여 우선순위를 매긴다. 
  • (4) 우선순위 측정 결과, 해결했을 때 비즈니스 목표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문제를 Objective로 설정한다. 

 

2.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2.1 KPI이란?

조직, 팀, 개인이 설정한 목표에 대한 달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지표

 

2.2 OKR과 KPI의 차이

목적이 다르다.

<OKR 과 KPI 비교 표>

항목 OKR (목표 및 핵심 결과) KPI (핵심 성과 지표)
초점 "무엇을 달성할 것인가"에 초점 "어떻게 성과를 측정할 것인가"에 초점
구성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Key Results) 주로 정량적인 성과 지표로 구성
 요소범위와 기간 주로 단기적 (분기별 또는 연간 목표 설정) 지속적인 추적 (일상적 성과 측정 및 관리)

 

=> 표를 보니까 KR = KPI인 것 같고, OKR은 목표 수립 과정을 전단계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KPI와 차이가 있다고 하는 것 같다. OKR을 설정한 뒤, 지속적으로 KPI를 추적하는 그림이려나?

 

 

3️⃣ 목표 수립 시 주의할 점:

  • 비즈니스 가치와 사용자 가치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함
  • 강조하는 이유: 처음 PM이 되면, 사용자 경험만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가치만 고려하는 경우가 많음. 비즈니스 가치를 빼먹지 말아야 한다. 
  • 사용자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가 충돌하는 경우도 있다.
    • ex) 카카오톡 생일알림: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매출효자가 됨. 일부 사람들은 부담스러워 함. 선물 받기도 주기도 부담 -> 이 부담 때문에 생일 감추기가 생기기는 함
    • 사용자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게 생각보다 굉장히 어려움. 최선으로 양립할 수 있게 노력하는 수밖에

🔷 정리하면,

  • 비전은 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OKR은 단기적인 목표를 명확히, KPI는 그 목표 달성을 추적하는 방식이다.
  • PM은 프로덕트 설계를 시작할 때, 목표수립을 위해
    1) 프로덕트의 비전 제시,
    2) 문제 수집 -> 문제 원인 분석/해결방법 제시 ->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목표를 설계하고, 그 목표의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KR, KPI를 설계한다.  
  • PM은 프로젝트 혹은 과제의 목표가 이 비전, OKR, KPI에 기여할수 있는지 확인하고, 이에 따라 목표를 상세하게 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