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공부하기

Product manager의 역할 - 기본 정의~ 실무에서의 역할

mtepg924 2025. 3. 31. 20:57

PM의 기본적인 정의

 Product manager는 무슨 일을 하는 직무인가? 같은 IT 직군인 디자이너나 개발자에 비해서도 딱 잘라 무슨 일을 한다고 하기가 애매하다. 하는 일이 광범위 하고, 다른 직군에 비해 역사가 짧기 때문이다. 또한 눈에 보이는 산출물도 디자이너나 개발자에 비해 뚜렷하지가 않다. (디자이너는 ui 디자인, 개발자는 코드, PM은...?) 

 

 이 직무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칼럼을 본 결과, 공통적으로 말하는 PM이라는 직무는 제품/서비스 기획과 이 기획을 위한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사람인 것 같다. 

그래서 채용 공고를 할 때, 과거에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말로 쓰였고, 요즘에는 product manager, product owner, project manager 등으로 교체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참고로 서비스 기획자와 product managersms 원래 아래와 같이 차이가 있는 개념인데, 채용공고에서 사실상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직무의 단어만 보면 안되고 채용중인 역할의 내용을 봐야 어떤 업무를 하는 사람을 뽑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 서비스 기획자는 주로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설계에 집중. ex) UX/UI 등
  • PM은 프로덕트의 방향성과 전략을 설정하고 비즈니스와 사용자 요구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일에 집중. 

=> PM은 서비스 기획자에 비해 사용자 경험 뿐 아니라, 비즈니스 가치까지 고려하여 균형있게 고려한다. 또한 서비스 기획자는 좀 더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면, PM은 문제 정의부터 해결까지 관여할 수 있다는 게 큰 차이인 것 같다. 

 

세부적인 PM의 역할

위 설명은 PM의 본질적인 역할에 대해 다루었다. 이제 좀 더 구체적으로 PM은 프로덕트 개발의 전략을 짜기 위해 어떻게 일하는가? 

답은 1) 기업마다, 2) 고객이 누구냐 3) 서비스 영역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1, 2, 3이 무엇이냐에 따라 프로덕트의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1. 기업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

1.1. 기업의 형태: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 인하우스 PM: 회사 내부의 프로덕트를 담당
    • 회사의 장기 비전과 전략에 맞춰 제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
  • 에이전시 PM: 클라이언트의 프로덕트를 담당
    •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하는 단기 프로젝트를 수행

1.2. 기업의 크기: 스타트업 vs. 대기업

  • 스타트업 PM
    • 모든 업무에 광범위하게 참여
    • 예 : 검색,결제,광고 모두 1명의 PM이 담당
  • 대기업 PM
    • 특정 영역에 집중해서 전문화된 역할
    • 예 : 검색팀,결제팀,광고팀 담당 PM이 모두 다름

2. 고객이 누구냐에 따라 다르다.

> 관련 참고자료: https://toss.im/career/article/internal-product-manager-interview

 

2.1 고객의 형태: 내부 고객 vs. 외부 고객

  • 내부 프로덕트 PM
    • 사내에서 사용하는 프로덕트를 담당
  • 외부 프로덕트 PM
    • 외부 사용자(고객,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프로덕트를 담당

2.2 비즈니스 모델: B2C(일반사용자) vs. B2B(기업 고객)

  • B2C PM
    • 빠른 사용자 경험 개선과 대중 시장을 타겟으로 한 전략이 필요
  • B2B PM
    • 고객사의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집중

 

3. 서비스 영역에 따라 다르다.

 

3.1 서비스 영역 - 프론트 vs. 백엔드

  • 프론트 PM
    • 사용자 경험과 기능의 사용성에 중점을 두며, 화면 기획 중심으로 담당 (ex. 앱 서비스팀, UI/UX 위주)
  • 백엔드 PM
    • 시스템 구조, 데이터 베이스, 내부 로직 등을 설계함 (ex. 추천시스템팀, 결제시스템팀, CMS팀, 실험플랫폼팀)

 

어려웠던 점 & 깨달은 점

PM의 직무를 서비스 기획자로 이해하고 있을 때쯤 새로 알게 된 내용들을 정리해봤다. 이 직무에 대해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공부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PM이 하는 일이 도메인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만큼, 취업준비를 할 때 필요한 세부역량과 지식에도 큰 차이가 있겠다 싶다. 나의 장단점과 흥미가 가는 도메인은 어딘지 찾아보고, 그에 맞게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