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23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2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Abit.ly 다운받기 abit.ly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HR 대시보드의 핵심 KPI인 Headcount(현 인원 수), Terminated(퇴사자 수), Tenure(근속 연수), Avg. Age(평균 나이)를 나타내는 카드들을 직접 만들어보는 실습을 진행했다. 기본적인 수치형 지표처럼 보이지만, 대부분이 단순한 합계가 아닌 조건 기반의 계산된 필드를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유의미했다.예를 들어 Tenure 계산은 단순히 입사일과 현재 날짜 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퇴사 여부를 조건에 따라 분기하여 계산해야 했다. ISNULL, TODAY, DATEDIFF 같은 함수들을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1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태블로를 활용해 HR Status 대시보드 내 워크시트들을 직접 구성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실무에서 자주 마주할 법한 조직 인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각화를 구성해보며, 단순히 그래프를 그리는 단계를 넘어 어떻게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할 것인지 고민해볼 수 있었다.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Hire Trend 워크시트에서 특정 시점(최대, 최소, 최신)에만 점(dot)을 찍는 기능이었다. 단순히 전체 트렌드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의미 있는 포인트만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디가 중요한가"를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돕는 방식이 인상 깊었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0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Abit.ly 다운받기 abit.ly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직원 모니터링 시나리오 기반의 대시보드 실습을 진행했다. 기존에는 지표들을 따로따로 보여주는 데 그쳤다면, 이번엔 실무처럼 한눈에 핵심 정보를 파악하고, 드릴다운하거나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흐름을 따라가볼 수 있었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점은, 대시보드가 단순한 시각화 공간이 아니라 업무 흐름에 맞춰 데이터를 연결하고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라는 것을 체감하게 된 부분이었다.예를 들어, 특정 부서를 클릭하면 직무 분포나 고용 트렌드가 함께 연동되어 보여지는 구조는, 실제로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를 탐색할 때 훨씬 직관적이고 효율..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9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그동안 만들어둔 여러 워크시트를 하나의 대시보드에 배치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기능적으로는 익숙한 작업이었지만, 오늘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Clear Drill-down 버튼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이 버튼은 사용자가 특정 고객을 클릭해 drill-down 시트를 보는 중에, 다시 전체 뷰로 돌아가기 위한 리셋 역할을 한다. 단순한 버튼처럼 보이지만, 이걸 태블로에서 직접 구현하는 과정이 흥미롭고 창의적이었다.버튼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MIN(1.1)이라는 dummy 값을 두 번 열 선반에 드래그해서 이중축으로 만들고, 두 축을 동기화(Synchronize Axis)..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8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태블로에서 Top N Customers 시각화를 만드는 실습을 진행했다. 이번 실습의 핵심은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만큼 상위 고객 데이터를 동적으로 필터링해 보여주는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었고, 그 과정에서 매개변수(Parameter) 와 집합(Set) 을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 중심이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op 5’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매출 기준 상위 5명의 고객만 차트에 나타나는 방식이다. 이때 매개변수를 집합 필터에 연결해 실시간 반응형 필터링을 구현하는 구조가 매우 흥미로웠다.추가적으로 오늘 새롭게 시도해본 부분은 Drill-down 매개변수 적용이었..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7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어제 준비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인터랙티브 대시보드 실습을 시작했다. 본격적인 액션 설정에 앞서, 우선 필터로 사용할 기본 시트들을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사용자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하위 카테고리로 drill-down 할 수 있도록, 필터 역할을 할 시각화 요소들을 별도로 구성하는 과정이었다.이 과정에서 다시 한 번 유용하게 쓰인 개념이 바로 MIN(1)을 활용한 dummy 값 설정이었다. 이전에 하이라이트 테이블을 만들 때도 사용했던 방식인데, 오늘 실습을 통해 이 기법이 인터랙티브 필터용 시트를 만들 때도 매우 유용하다는 걸 다시 확인할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6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새로운 인터랙티브 대시보드 구성 실습을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 이번 실습의 핵심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각화 수준이 점진적으로 바뀌는 drill-down 구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매개변수(Parameter) 액션이 있었다. 단순히 필터링하는 것을 넘어서, 클릭이나 선택 등의 사용자 행동에 따라 매개변수 값이 바뀌고, 그 값에 따라 워크시트가 달라지는 구조를 실습하게 될 예정이다.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기존의 필터 액션이나 하이라이트 액션과는 다르게, 매개변수 액션은 사용자의 선택이 '값 그 자체'로 반영되어 더 복잡하고 유연한 상호작용을 만들 수 있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5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오늘은 어제에 이어 대시보드 디자인 실습을 계속 진행했다. 전체적인 구성 방식은 Weekly Sales Dashboard 때와 유사했지만, 반복 실습을 통해 이전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컨테이너나 빈 페이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였다.처음엔 “빈 페이지를 왜 써야 하지?” 싶었지만, 오늘은 그 필요성을 더 명확히 느꼈다. 세로 정렬 시 간격이 어색하거나 공간이 붙는 문제를 빈 페이지 하나로 해결할 수 있었고, 여백 조절도 훨씬 직관적으로 할 수 있었다.오늘 실습을 통해 가장 크게 느낀 건, 시각화 도구는 기능 숙지만으로는 부족하고, 반복을 통해 사고의 정돈과..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4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강의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태블로에서 Monthly over Month KPI 카드를 제작해보는 실습을 진행했다. 이 KPI 카드는 전월 대비 매출(Sales)의 변화율을 숫자와 그래프로 동시에 표현하는 대시보드 구성 방식으로, 실무에서도 매우 자주 사용될 수 있는 형태다. 이번 실습의 핵심은 단순한 수치 비교를 넘어서, 시계열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전월대비 분석과 그에 대한 시각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었다.우선 인상 깊었던 부분은 전월 대비 % 차이를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단순히 지난달과 이번 달의 매출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DATETRUNC('month', [Order Date]) 함수를..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3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abit.ly/lisbva Abit.ly 다운받기 abit.ly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태블로에서 Sales Analytics Dashboard를 직접 구성해보는 실습을 진행했다. 단순한 시각화를 넘어서, 대시보드에 들어갈 구성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설계하고 각각의 워크시트를 조합하는 과정이었다. 이번 실습에서는 Sales by Subcategory, Profit by Subcategory & Region, 그리고 Top N Customers 총 세 개의 워크시트를 만들었다.특히 오늘 가장 인상 깊었던 건, min(1)이라는 dummy 값을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이건 처음에는 조금 낯설었지만, 이해하고 나니 다양한 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