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 오늘자 날짜, 공부 시작 시간 포함 사진 1장 |
![]() |



오늘의 강의 후기 및 인사이트
오늘은 시간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 두 가지와, 속성별 비교를 위한 시각화 방식들을 배우고 실습해보았다. 수업은 주로 실습 중심으로 진행돼서,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익힐 수 있었지만, 각 시각화 방법이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지는 다소 부족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수업 후에 각 차트의 특징과 사용 맥락을 따로 찾아보면서 정리해보았다.
<키워드>
시간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 2
- 달력차트
- 간트차트: 기간을 시각화할 때 효과적
속성별 비교를 위한 시각화
- KPI카드 만들기
- 하이라이트 테이블
- 불렛 차트
달력 차트는 특정 날짜 기준으로 데이터 분포를 시각화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어떤 서비스의 일별 사용자 수나 이벤트 발생 빈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어, 이상치나 특정 날짜의 특징적인 값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간트 차트는 일정 관리나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시각화할 때 많이 사용된다. 각 작업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서 일정 조율에 용이하다.
속성별 비교 시각화 방법 중 KPI 카드는 핵심 지표를 강조해서 보여주는 데 유용하고, 하이라이트 테이블은 열과 행의 교차값을 색으로 구분해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불렛 차트는 목표 대비 성과를 비교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경영지표 분석 등에 자주 쓰인다고 한다.
오늘 배운 차트들은 아직 손에 익지는 않았지만, 언제 어떤 상황에서 어떤 시각화를 써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연습해보면, 단순히 따라 그리는 수준을 넘어서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갈 수 있을 것 같다.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7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0) | 2025.04.07 |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6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0) | 2025.04.06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0) | 2025.04.04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1) | 2025.04.03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일차: <세계 3등에게 배우는 실무 밀착 데이터 시각화> 강의 후기 (0) | 2025.04.02 |